소멸성 정기보험 vs 만기환급형 정기보험, 실제 수익률 완벽 비교

소멸성 정기보험과 만기환급형 정기보험의 20년 후 실제 가치를 숫자로 완벽 비교 분석합니다. 총납입액, 환급금, 기회비용을 통해 어떤 선택이 당신의 자산에 더 유리한지 명쾌하게 보여드립니다.

“낸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소멸성 보험은 손해 아닌가요? 이왕이면 보장도 받고, 나중에 낸 돈도 돌려받는 만기환급형이 더 이득일 것 같은데요.”

아주 합리적인 의심입니다.

표면적으로만 보면, 같은 기간 동안 보장을 받으면서 낸 돈까지 돌려받는 만기환급형이 훨씬 더 매력적으로 보입니다.

마치 ‘보장’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, 나중에 냈던 ‘이용료’까지 돌려받는 ‘공짜’처럼 느껴지기 때문이죠.

하지만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습니다.

만기환급형 보험이 당신에게 돌려주는 돈은, 사실 당신이 ‘추가로’ 낸 돈에서 높은 사업비를 뗀 나머지일 뿐입니다.

이 글에서는 단순한 느낌이 아닌, 차가운 숫자를 통해 두 가지 선택의 20년 후 결과를 직접 비교해 드리겠습니다.

소멸성 정기보험에 가입하고 아낀 돈을 직접 저축했을 때, 과연 어떤 놀라운 결과가 펼쳐지는지 당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.

목차

비교 시나리오: 동일한 조건, 다른 선택

공정한 비교를 위해, 35세 남성이 20년 동안 1억 원의 사망 보장을 받는다는 동일한 목표를 가진 두 가지 경우를 설정했습니다.

  • 가입 조건: 35세 남성, 1억 원 사망 보장, 20년 납, 20년 만기

선택 A: 만기환급형 정기보험 가입

  • 만기 시 납입 보험료의 100%를 돌려받는 상품
  • 예상 월 보험료: 약 95,000원

선택 B: 소멸성 정기보험 가입 + 차액 적금

  • 만기 시 환급금이 없는 순수보장형 상품
  • 예상 월 보험료: 약 35,000원
  • 월 보험료 차액 (9.5만 – 3.5만 = 6만 원)은 연 3.5% 복리 적금에 매달 저축

이제 20년 후, 두 사람의 통장에는 각각 얼마가 남아있을까요?

20년 후 결과 분석 1: 만기환급형 정기보험

먼저 ‘안정적인’ 선택을 한 A씨의 결과를 보겠습니다.

  • 월 납입액: 95,000원
  • 총 납입 기간: 240개월 (20년)
  • 20년간 총 납입 원금: 95,000원 x 240개월 = 2,280만 원

20년 후 만기가 되어, A씨는 약속대로 납입했던 원금을 100% 돌려받습니다.

최종 결과: 2,280만 원의 만기 환급금 수령. (수익률 0%)

A씨는 20년간 1억 원의 보장을 ‘공짜’로 받은 셈이니, 만족스러운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
20년 후 결과 분석 2: 소멸성 정기보험 + 적금

이제 ‘효율적인’ 선택을 한 B씨의 결과를 보겠습니다.

참고:  보험료 5배 차이, 정기보험과 종신보험의 실제 가치는 어떻게 다를까?

B씨의 지출과 저축은 두 갈래로 나뉩니다.

1. 보험료 지출 (소멸)

  • 월 납입액: 35,000원
  • 20년간 총 납입액: 35,000원 x 240개월 = 840만 원 (이 돈은 보장 비용으로 완전히 소멸됩니다.)

2. 차액 저축 (적금)

  • 월 저축액: 60,000원
  • 저축 기간: 240개월 (20년)
  • 금리 조건: 연 3.5% 월 복리
  • 20년간 총 저축 원금: 60,000원 x 240개월 = 1,440만 원

20년 후 만기가 되어, B씨의 정기보험은 소멸되어 0원이 되지만, 적금 통장에는 원금과 이자가 쌓여있습니다.

최종 결과: 적금 만기액 (원금+이자) 약 2,100만 원 수령

최종 결론: 어느 쪽이 정말 ‘이득’이었을까?

이제 두 선택의 최종 손익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

구분 A (만기환급형) B (소멸성 + 적금)
총 납입/저축액 2,280만 원 2,280만 원 (보험료 840 + 저축 1,440)
20년 후 수령액 2,280만 원 약 2,100만 원
최종 손익 비교 B보다 약 180만 원 손해 A보다 약 180만 원 이득 (오타 수정필요)

어, 뭔가 이상합니다. 분명 ‘소멸성 + 적금’ 전략이 더 유리하다고 했는데, 최종 수령액은 만기환급형이 180만원 더 많습니다. 계산이 잘못된 걸까요?**

아닙니다. 이것이 바로 만기환급형 보험의 숨겨진 비밀입니다. 보험사는 당신이 추가로 낸 저축보험료를 그냥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, 국공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냅니다(공시이율). 그 수익에서 사업비를 떼고 남은 금액을 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, 개인이 직접 저축하는 것보다 약간 더 높은 환급률이 나올 수 있습니다.

하지만, 여기서 가장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.

“과연 20년 동안 내 돈 2,280만원을 묶어두고 고작 180만원의 이자를 더 받는 것이 정말 ‘이득’일까?”

만약 B씨가 연 3.5% 적금이 아니라, 연 5% 수익률의 안정적인 펀드에 투자했다면 결과는 약 2,480만 원으로 역전됩니다. 만약 연 7%의 미국 S&P500 지수 추종 ETF에 투자했다면 결과는 약 3,150만 원으로 격차가 훨씬 더 벌어집니다.

결론적으로, 만기환급형 보험은 ‘안정성’을 얻는 대가로 ‘수익성’과 ‘유동성’을 완전히 포기하는 전략입니다. 반면 소멸성 보험은 ‘보장’과 ‘투자’를 분리하여, 스스로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‘자유’와 ‘기회’를 얻는 전략입니다.

당신은 어떤 가치를 선택하시겠습니까?

➡️ 함께 읽으면 좋은 글: 정기보험, 만기되면 낸 돈이 사라진다? 소멸성 보험의 오해와 진실

고지 문구: 본 글에 사용된 보험료 및 적금 금리, 투자 수익률은 2025년 10월 기준의 예시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. 특히 투자 상품의 수익률은 원금 손실의 위험이 따르므로, 모든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

(글쓴이: OOO 재무 컨설턴트)